천수경의 전체 제목은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입니다.
오늘은 이 제목 중 두 번째에 해당하는 ‘관자재보살’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관세음보살님과 관자재보살님, 이름은 다르지만 한 분을 가리킵니다. 그렇다면 왜 같은 분이 두 가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을까요?
📌 부처님도 여러 이름이 있다?
불교 경전을 공부하다 보면, 한 부처님이나 보살님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아미타불입니다.
-
아미타불은 산스크리트어로 아미타브하(Amitābha) 또는 아미타유스(Amitāyus)로 불리는데요,
-
아미타브하는 ‘무한한 빛’을 뜻하며 ‘무량광불’이라고 번역됩니다.
-
아미타유스는 ‘무한한 수명’을 뜻하여 ‘무량수불’이라 번역되지요.
-
우리가 부르는 ‘아미타불’은 이 두 이름의 앞부분 아미타를 음역하고, 뒤에 ‘불(佛)’을 붙인 표현입니다.
즉, 아미타불이라는 한 이름 안에 빛과 수명을 동시에 갖춘 부처님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 관세음보살 vs 관자재보살, 무슨 차이일까?
관세음보살과 관자재보살도 마찬가지입니다.
둘 다 산스크리트어 'Avalokiteśvara(아왈로키테슈와라)'를 번역한 이름인데요,
용례와 강조하는 측면에 따라 이름이 달라집니다.
-
지혜의 측면을 강조할 때는 ‘관자재보살’이라 하고,
-
방편(구제의 실천) 측면을 강조할 때는 ‘관세음보살’이라 부릅니다.
즉, 같은 보살님이지만 역할이나 수행의 성격에 따라 이름을 달리 부른 것이죠.
📖 반야심경은 누가 설했을까?
대승불교에서 매우 중요한 경전인 『반야심경(般若心經)』,
이 경전을 설한 분이 바로 관자재보살님입니다.
반야심경은 산스크리트어로 마하 프라즈냐 파라미타 흐리다야 수트라(Mahā Prajñā Pāramitā Hr̥daya Sūtra), 즉 ‘지혜의 완성을 이루는 핵심 경전’이라는 뜻입니다.
우리가 흔히 독송하는 반야심경은 ‘약본(약식본)’이며, 설한 장소나 맥락이 생략되어 있지만
티벳불교 등에서 사용하는 ‘광본(장본)’에는 부처님이 영취산에서 증명하는 가운데,
관자재보살님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며 경을 설하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 이름의 번역: 구마라습 vs 현장
그렇다면 왜 어떤 경전은 ‘관세음보살’이라 하고, 어떤 경전은 ‘관자재보살’이라 하는 걸까요?
이는 중국의 두 대 역경가, 즉 구마라습과 현장 스님의 번역 방식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
구마라습 스님(4세기)은 의역 위주의 번역 스타일로, Avalokiteśvara를
‘중생들의 소리를 관찰하고 구제하는 분’이라는 뜻에서 관세음(觀世音)으로 번역했습니다. -
반면 현장 스님(7세기)은 직역 위주의 방식으로
‘자유자재하게 중생을 관조하고 구제하시는 분’이라는 의미를 살려 관자재(觀自在)로 번역했죠.
즉, 관세음보살 = 구마라습 스님의 번역, 관자재보살 = 현장 스님의 번역이라 보시면 됩니다.
👑 피휘(避諱)의 영향
그런데 현장스님은 왜 이미 널리 쓰이던 ‘관세음보살’ 대신 ‘관자재보살’을 선택했을까요?
이는 당나라 시대의 ‘피휘(避諱)’ 문화 때문입니다.
피휘란 왕이나 귀인의 이름과 같은 글자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전통입니다.
-
당나라 태종의 이름은 이세민(李世民)인데, 여기서 ‘세(世)’ 자가 문제였습니다.
-
경전에 ‘관세음’이라는 표현을 계속 쓰면 황제의 이름자와 겹치게 되니,
이를 피해 ‘세’ 자를 빼고 ‘관자재보살’로 번역한 것이죠.
이러한 이유로 ‘관세음보살’ 대신 ‘관자재보살’이 반야심경 등 현장스님의 번역 경전에는 쓰이게 된 것입니다.
또한, 당대 이후에도 이 피휘 문화의 영향이 남아 ‘관세음보살’ 대신 ‘관음보살’이라는 표현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이죠.
🙏 결론
한 분의 보살님이지만, 지혜를 설하는 모습일 때는 ‘관자재보살’,
자비로 구제하시는 모습일 때는 ‘관세음보살’로 이름을 달리 부릅니다.
-
『천수경』, 『반야심경』 등에서 ‘관자재보살’이라는 표현이 나오면,
이는 현장스님의 번역임을, -
『법화경 관세음보살 보문품』처럼 ‘관세음보살’로 칭해질 때는
구마라습 스님의 번역임을 염두에 두시면 이해가 더 깊어집니다.
부처님과 보살님의 이름 하나하나에도 깊은 의미와 문화적 배경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의 기도와 수행이 좀 더 풍부하고 정확해질 수 있도록, 이러한 배경지식도 함께 익혀가면 좋겠습니다.
* 유튜브로 시청하기
_()_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