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밀교의 수행체계 강의 계획
I. 탄트라 수행의 입문
1. 수트라(Sutra, 類)와 탄트라(Tantra, 密)의 공통과정
수트라는 주로 인과(因果)의 논리에 입각하여 수행자가 보살도를 실천하고 깨달음에 이르도록 하는 교법이며, 탄트라는 이 기반 위에서 보다 신속하게 깨달음을 이루고자 하는 밀교적 수행법입니다. 탄트라 수행의 입문에 앞서 수트라의 계율, 보리심, 공성에 대한 이해는 기본전제로 이 조건이 갖추어져야 탄트라의 수행을 통해 불과를 이룰수 있습니다.
2. 본존요가(本尊瑜伽)
탄트라 수행의 핵심은 본존요가입니다. 수행자는 특정 본존(佛, 보살 등)을 심상화 하여, 그 존재와 하나가 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본래 자성과 불성을 깨우쳐갑니다. 이는 생기차제와 원만차제로 나뉘어 수행됩니다.
3. 관정의식(灌頂儀式)
탄트라 수행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스승으로부터 관정(Abhisheka)을 받아야 합니다. 관정은 수행의 문을 여는 의식이며, 수행자가 본존과 특정한 수행체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허락받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II. 4종 탄트라
티벳불교에서는 탄트라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합니다.
소작 탄트라(所作): 외적인 정화와 의례 중심의 실천을 강조합니다.
행 탄트라(行): 수행자의 심성과 태도, 본존과의 관계에 중점을 둡니다.
요가 탄트라(兪伽): 본존과의 합일, 공성과 자비의 통합 수행을 중심으로 합니다.
무상요가 탄트라(無上兪伽): 가장 높은 단계의 탄트라로, 생기차제와 원만차제를 통해 신속한 깨달음을 추구합니다.
III. 티벳불교 4대 학파의 주요 수행법
티벳불교의 네 주요 학파는 각기 고유한 수행체계와 본존 전승을 가지고 있습니다.
게룩빠 (dGe Lugs Pa): 라마 쫑카빠의 전통을 따르며, 엄밀한 논리와 수행 체계를 강조합니다. 탄트라 수행은 구햐사마자와 칼라차크라 수행이 중심입니다.
까규빠 (bKa' brGyud Pa): 나로육법과 마하무드라 수행이 중심이며, 구루와의 직접적인 연결을 중시합니다.
사꺄빠 (Sa sKya Pa): 인도인 스승 비루빠에서 이어진 전통으로, 티벳인 개창자는 콘꼰촉겔뽀이며, 특정수행은 도과(道果) 입니다. 탄트라 수행은 헤바즈라 탄트라 수행을 위주로 합니다.
닝마빠 (rNying Ma Pa): 가장 오래된 학파로, 족첸 수행이 핵심입니다. 본질적 자성을 직접 인식하는 실천이 강조됩니다.
IV. 변화의 매개체
탄트라 수행에서는 변화의 도구이자 매개체로써 다음과 같은 내면의 요소들이 중시됩니다.
기맥(氣脈)과 맥륜(脈輪): 수행자는 몸 안의 에너지 통로인 기맥과 그 중심에 위치한 차크라(맥륜)를 통해 의식의 정화를 도모합니다.
기(氣): 생명력의 에너지로, 명상과 호흡을 통해 조절하며 의식과 불이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명점(明點): 육체와 의식의 정수로, 생기차제와 원만차제에서 중요한 수행의 초점이 됩니다.
내열요가(內熱瑜伽): 뚬모(Tummo)라 불리는 수행으로, 내면의 열기를 일으켜 심신의 정화를 꾀하는 고급 실천입니다.
* 참고문헌과 가르침의 전승
'티벳밀교의 수행체계' 강의에서 설명드릴 비밀집회 탄트라(Guhyasamaja Tantra)의 생기차제와 원만차제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티벳 논서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dPal gSang Ba ‘Dus Pa ’Phgs Lugs Dang mThun P’i sNgags Kyi Sa Lam rNam gZhag Legs bShad sKal bZang ‘Jug Ngogs Kyi Shes Bya Ba bZhugs So
그리고 이에 대한 영문 번역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Paths and Grounds of Guhyasamaja According to Arya Nagarjuna. Dharamsala: LTWA, 1995.
본인은 이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인도 히마찰프라데쉬 다람살라의 티벳문헌연구소(Library of Tibetan Works and Archives, LTWA)에서 박사 논문을 준비하며 집중 연구하였습니다. 특히 1999년 3월부터 5월까지 LTWA의 교수님이신 게세 다와(Geshe Dawa) 스님께서 위의 책을 교재로 진행한 비밀집회 탄트라 집중 강의는 본인 논문의 핵심 기반이 되었습니다.
본 강의에서 다 설명드리지 못하는 부분이나, 무상요가 탄트라 수행의 생기차제 및 원만차제에 대해 더 깊은 이해를 원하시는 분들께는 위의 영문 서적을 꼭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안타깝게도 아직까지는 이 책의 한글 번역본이 출판되지 않았습니다. 관심 있는 수행자분들의 탐구와 공부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밀교의 수행체계 제1강: 탄트라 수행의 특징
_()_
댓글 쓰기